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틀린 말로만 이뤄진 이야기: 나는 오늘도 高지식한 MZ입니다》

by raonlog 2025. 8. 7.

MZ 회사 신입이 워크샵 후기 소감문을 냈는데 이렇게 냈다고 합니다.

 

보고 너무 놀라서 제가 아래 표로 고쳐봤어요.
본문 중 잘못쓴 부분이 많아 굵은 부분으로 표시했구요.

괄호 앞부분은 MZ회사원이 알고 있는 단어의 내용이고 화살표 뒤쪽이 원래뜻이랍니다.
이걸보고 아마 "이게 왜? 뭐가 잘못되었지?" 하실 분들도 있을것 같아 공유드립니다.

아래 부분에 오해한 부분과 실제 뜻 부분을 비교해서 표를 넣었으니 자신의 교양을 위해 참고하세요^^


" 사흘
(4일-->3일) 전에 시작된 우리 회사 워크숍은 진짜 고지식한(高지식한--> 古지식:융통성 없음)  지적인 분위기 속에서 시작됐다.
신입사원인 나는 원래 부동층(不動層 흔들리지 않는 층 --> 浮動層 :어디로든 갈 수 있는 유동적인 층)이라, 어떤 말에도 흔들리지 않는 편인데, 이번 발표는 멋지고 가관(보기좋음-->비꼬는 뜻의 보기좋음)이었다.
대리가 한 감언이설(듣기좋은 달콤한 말--> 거짓으로 꾸며 속이는 말 )이 너무 달콤해서 거의 인싸가 되는 기분이었달까?

팀장님은 우리에게 금의환향(부끄럽게 돌아올-->금빛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올정도로 성공함)할 기회를 주겠다며 열변을 토했지만, 분위기는 왠지 헬조선(별로-->한국에 사는걸 현실비관한 신조어) 느낌이었다.
내 옆자리 동기는 회의 시간 내내 팀장 말을 간과(감시-->대충보고 넘긴다)하더라. 너무 관찰력이 뛰어나.

아, 그리고 팀장님. 너무 도외시(지방사람무시-->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하지 마세요. 저 지방 사람이라고 무시하는 거 다 알아요.
저도 사실은 프로불편러(문제제기자--> 정당한 문제 제기자 )거든요. 웬만한 건 다 불편해요.
특히 ‘적폐(빨갱이-->  잘못된 정치적 프레임 )’ 같은 빨갱이라는 단어 쓰시는 거, 시대에 안 맞다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제 발표 때 속수무책(너무빨라서 못따라감--> 손쓸 방법 없음)으로 말이 빨라서 다들 못 따라오시던데요?
역시 저는 호의가 계속되면 권리인 줄 안다(속담이 아니라 영화대사)는 속담을 진리로 삼거든요.

근데 진짜 열받았던 건, 인사과 과장님이 “개천에서 용 안 난다(냉소적표현-->개천에서 용났다는것은 어려운 환경속에서도 성공했다는 칭찬)”면서 저한테 수영장 끊으래요.
농담인 줄 알았는데 진심이었어요. 심지어 오늘 출근하면서 “MZ는 진짜 마이동풍(말을 안듣는다--> 남의 말을 잘 듣지 않고 지나쳐 흘려버림)이다”라고 혼잣말하던데,
와… 전 바람소리가 좋아서 일부러 그렇게 듣고 흘리는 건데요?

결론은 이거예요.
저는 이런 발본색원(본질을 파악하는-->완전히 뿌리를 뽑다라는 부정적 의미)의 자세로 회사를 바꿀 겁니다. 문제의 근본을 찾아내는 게 제 사명이거든요."

숨은 잘못된 표현 13개 

잘못이해한 부분 실제 뜻
사흘 = 4일 실제로는 3일
고지식하다 = 高지식하다 실제로는 古지식(융통성 없음)
부동층 = 不動層 실제는 浮動層 (어디로든 갈 수 있는 유동적인 층)
가관=보기좋다 실제로는 비꼬면서 보기 좋다는 뜻 (부정적)
감언이설=듣기좋은 달콤한말 실제로는 거짓으로 꾸며 속이는 말
금의환향=부끄럽게 돌아오다 실제로는 영광스러운 귀환
헬조선=무조건적인 비관과 냉소 현실비관 신조어, 본래 의미(한국사회를 비판한 신조어)와 다름
간과=감시하다 실제로는 대충 보고 넘긴다
도외시=지방사람 무시 실제로는 중요하게 여기지 않다
프로불편러=정당한 문제제기자 조롱하는말 정당한 문제 제기자를 조롱하는 말로 왜곡
적폐 = 빨갱이 실제로는 빨갱이가 아닌 잘못된 정치적 프레임
속수무책 = 너무 빨라서 못 막음 실제로는 손쓸 방법 없다는 뜻
호의가 계속되면 권리로 안다 실제로는 영화 대사이지 속담 아님
개천에서 용 안 나 개천에서 용나왔다(좋은뜻)는 말을 냉소적으로 오용하고 있음
마이동풍=말을 안듣는 실제로는 동풍이 말의 귀를 스쳐 간다는 뜻으로, 남의 말을 귀담아듣지 아니하고 지나쳐 흘려버림을 이르는 사자성어
발본색원=본질을 파악하다 라는 긍정적의미 실제로는  근본을 뽑고 근원을 없앤다 (완전히 뿌리 뽑다)는 부정적의미로 사용함